본문 바로가기

과학2

논문, 조금은 덜 무섭게.. 덜 어렵게 느껴야 하지 않을까? 연구실에 처음 들어오는 석사 혹은 학부생들이 논문을 처음 접하며 너무 어렵게 느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어찌어찌 읽어야 하는 논문이기에 조금은 덜 겁먹고 읽어나갈 수 있는가에 대해 논문 읽는걸 썩 좋아하지 않는 제 이야기라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논문 읽기 싫어하는 연구자.. 그러게요.. 저 논문 읽는거 싫어해요. 연구자지만 논문 읽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는 합니다. 책을 즐겨 읽지 않은 어린 시절을 보면 당연한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미나를 통해 누군가 설명해줬으면 좋겠고, 영어도 싫고.. 논문도 잘 읽고 잘 정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정확한 정보를 알거나 조금의 공부로는 논문만 한 것이 없다는데 동의하기는 합니다.. 영상(유튜브.. 2022. 1. 11.
열을 전기로 바꾸는 신재생 에너지 - 열전 발전(Thermoelectric) 열전(Thermoelectric)은 작은 온도 차이에서도 전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소재/소자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연구하고 있는 열전이 어떤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적합한지 간략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열 에너지란? 우선적으로는 열? 온도 차이? 가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것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주전자에 끓여지고 있는 물은 열을 가해져서 물이 수증기가 되고 주전자의 뚜껑을 들썩들썩하게 하는 운동 에너지로 바뀌게 되는 것을 간단하게나마 알 수 있습니다. 열을 활용하여 액체가 수증기로 바뀌면서 부피가 늘어나면서 생기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발전소에 있는 터빈과, 자동차에 있는 엔진을 볼 수 있습니다. 열이라는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꿨다가 다시 전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 2021.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