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

엑셀(Excel)에서 자주 쓰는 함수 정리 2편 (COUNTIFS, VLOOKUP, CONCATENATE, IF)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엑셀에서 자주 쓰이는 함수 1편에 이어 2편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이번 내용은 엑셀에서 자주 쓰는 함수 4개 입니다. COUNTIFS, VLOOKUP, CONCATENATE, IF 함수 함수를 숙지하기 전에 알아야 할 기본 개념 두 가지! 1. RANGE(범위) : 조건에 대한 범위를 지정합니다. 범위가 여러 함수 등을 사용하여 유동적일 수는 있으나 그에 대한 결과들은 숫자나 문자가 아닌 ‘셀’이어야만 합니다. 2. CRITERIA(조건) : 범위에서 지정된 셀이 가져야 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조건은 대괄호 안에 넣습니다. ① COUNTIFS 함수 COUNTIFS는 범위내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값이 몇 개인가 카운트해주는 기능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C3부터 C5에 해당하.. 2021. 10. 8.
NFT(Non-Fungible Token)에 대하여 근래에 비트코인이 흥함에 따라 NFT에 대해서도 심심치않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과연 NFT란 무엇일까요? NFT는 Non-Fungible Token 즉 대체 불가능한 토큰입니다. 무엇이 토큰이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인 걸까요? 비트코인이 흥함에 따라 블록체인이라는 기술도 각광받았는데 이 NFT를 이해하기 위해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부터 알아야합니다. 블록체인이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쉽게 장부라고 생각하면된다)이라고하는데 이러한 블록을 분산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일 장부가 1개면 중앙(은행 or 정부)에서 모든 기록을 관리하는데 블록체인을 거치게 되면 장부가 여러 개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내가 거래한 내용이 다른 장부에도 기록됨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해킹이 매우 어렵.. 2021. 9. 25.
오비탈이란? (Orbital) 여러분 혹시 플립북을 아시나요? 여러 장의 그림을 이어지게 그려서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의 일종입니다. 플립북은 사실 연속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불연속적인 움직임이죠 예를 들어 1,2,3,4,5 숫자를 보았을 때 연속적 나열이지만 1과 2사이에는 1.1, 1.111, 1.111111111…등 무한히 많은 수가 존재해서 사실 불연속적인 것과 같은 이치죠. 이게 에너지에서도 마찬가지인거 아셨나요? 에너지들은 불연속적인 값을 가집니다. 이를 주양자수(n)이라고하며 1,2,3 등 정수의 값을 가집니다. 주양자수에 커질수록 전자가 이동할수있는 범위(오비탈의 크기)가 커지며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집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특정 에너지 값도 바뀌게 되지요. 이에 따른 증거로는.. 2021. 9. 23.
엑셀(Excel)에서 자주 쓰는 함수 정리 1편 (SUM, SUMIF, AVERAGE, COUNTA)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MS Office의 엑셀(Excel)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다들 알다시피 국가자격증인 ‘컴퓨터 활용능력’에 필요하며, 대부분의 직장 업무에도 활용되고 있는 문서작업 프로그램입니다. 지금부터 엑셀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 제가 알고 있는 엑셀의 개념과 간단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먼저 엑셀이란? 표에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스프레드시트’라고도 하며, 문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어 많은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행, 열,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다양한 함수들을 사용해 작업을 빠르게 처리합니다. 함수를 숙지하기 전에 알아야 할 기본 개념 두 가지! 1. RANGE(범위) : 조건에 대한 범위를 지.. 2021. 9. 16.
제 1강. LabVIEW(랩뷰)의 기초 1. 랩뷰 실행 방법 2. 프론트 패널과 블록 다이어그램 2. 랩뷰 환경 설정 3. 랩뷰에서 유용한 단축기 모음 안녕하세요. 이전글 (제 0강. 랩뷰(LabVIEW)란?) 에서는 랩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 봤습니다. 오늘은 랩뷰를 실행하는 방법부터 단축기 모음까지 랩뷰의 기초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 오늘의 랩뷰 짤막 상식 : VI는 랩뷰의 확장자명이다 ) 1. VI파일 실행하기 (LabVIEW 2016버전) 맨 처음 LabVIEW를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LabVIEW를 실행하고 위 그림처럼 [새로 만들기] 탭에서 [새 VI]를 눌러주세요. 그럼 창이 회색, 흰색 이렇게 2개의 창이 뜨는데, 이제 그 2개의 창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해주면 됩니다. (만약 기존에 만들어 놓았던 vi파일이 있으.. 2021.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