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11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MOSFET 안녕하세요. 저번 8장 포스팅에서 트랜지스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랜지스터에는 크게 BJT와 FET가 있고 또 여기서 FET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FET 중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OS, MOSFET 구조 MOS 동작상태 MOSFET 동작 1. MOS, MOSFET 구조 MOSFET은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약자로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라는 뜻입니다. 그 뜻대로 MOSFET은 MOS구조를 통해 전계를 생성하여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입니다. MOS 구조 MOS는 금속-산화막-반도체가 순서대로 접합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M.. 2022. 8. 22.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트랜지스터 안녕하세요. 저번 6장, 7장 포스팅에서 반도체의 기본적인 접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접합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중 다이오드와 함께 반도체소자를 대표하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지스터란? 접합형 트랜지스터 (BJ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 1. 트랜지스터란? 트랜지스터는 세 개 이상의 전극을 가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반도체 물질(Si, Ge 등)으로 제작되어 증폭과 연산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전극이 세 개가 달려 있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의 작업에 유용합니다. 현대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cpu, gpu, 메모리 등을 제작합니다. 여러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논리 게이트(AND, NAND, O.. 2022. 8. 22.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LED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대 사회의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중 하나인 발광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광 다이오드란? 2. 직접천이, 간접천이 3. 재결합 (recombination) 4. 빛의 방출 원리 5. 양자우물 (Quantum well) 6. 청색 발광 다이오드 (Blue LED) 7. O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1. 발광 다이오드란? 토머스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한 이래로 인류는 언제나, 어디에서 빛을 활용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구의 명확한 단점 때문에 전구의 대체재를 찾아야 했습니다. 그 전구의 대체재가 바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구에 비해 작고, 가볍고, 빛의 효율이 좋은 발광 .. 2022. 8. 22.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MS 접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접합 중 금속과 결합시키는 접합인 MS 접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S 접합이란? 2. 쇼트키 접촉 (Schottky contact) 3. 저항 접촉 (Ohmic contact) 4. Carrier Conduction Mechanism 1. MS 접합이란? 금속-반도체 접합은 대표적인 반도체의 이종 접합 중 하나입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살펴본 PN 접합과 달리 MS 접합은 금속과 반도체의 서로 다른 재료를 가지고 접합한 경우입니다. MOSFET과 같은 트랜지스터에서 전극의 역할은 아주 중요합니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전극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금속과 반도체의 성질이 서로 달라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 시 .. 2022. 8. 19.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PN 접합과 다이오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N 접합과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N 접합은 반도체의 접합 중 기본적인 형태의 접합으로 P-type 반도체와 N-type 반도체를 접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다른 특성을 가진 반도체를 접합함으로써 어떠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이오드란? 2. PN 접합의 구조 3. 인가 바이어스 4. 항복 현상 1. 다이오드란?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계된 소자입니다. 초기 다이오드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반도체로 다이오드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정류기(rectifier)라고 불리는 반도체 다이오드는 p-type과 n.. 2022. 8.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