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26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에 대해서.. 지난 시간에는 탄소나노튜브(CNT)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1. 스포츠 용품에서의 응용 2. 항공분야에서의 응용 3. 우주분야에서의 응용 1. 스포츠 용품에서의 응용 탄소나노튜브는 인장강도가 강철의 100배이고 전기전도도는 구리와 비슷하며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납니다. 또한 초저온에서도 전기 손실이 없는 초전도 성질까지 가지고 있어 이러한 뛰어난 물리화학적 성질 때문에 탄소나노튜브는 다양한 분야에서 꿈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어떠한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우리 일상생활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제품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골프채, .. 2022. 4. 29.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에 대하여 대학 교과과정 중 기기분석이라는 과목을 배웠던 학생들은 광학현미경이 아닌 전자현미경이 있다는 것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학생 수준으로 여러가지 전자현미경 중 주사전자현미경(SEM)의 원리를 살펴보고 기초적인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1.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차이 2.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 1.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차이 기본적인 현미경은 맨눈으로 보기 힘든 작은 물체를 확대하는 관찰 기구입니다. 현미경은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광학현미경,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전자현미경 이렇게 2가지입니다. 우선 광학현미경이 물체의 상을 확대하는 원리는 초점거리가 짧은 대물렌즈를 물체 가까이 둬서 .. 2022. 4. 15.
CNT.. 너는 도대체 뭐니?? (대학생 버전) 공부를 하시다가, 또 연구하시다가 탄소 나노튜브라는 것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는데요. 지극히 학생의 관점에서! 쉽게 풀어쓴 글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한번 써 보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서 탄소나노튜브를 쉽게 이해해 봅시다. 1. 탄소 나노튜브..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2. CNT 분류법 (층 vs 구조) 1. 탄소나노튜브..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이공계열에서 오래전부터 자주 들려왔던 단어가 있는데요. 바로 탄소 나노튜브(Carbon입니다. 우리가 보통 탄소라고 한다면 연필에 쓰이는 흑연, 보석으로 쓰이는 다이아몬드 등이 있는데요, 이것들은 모두 탄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입니다. 탄소나노튜브도 마찬가지인 것이죠! 현.. 2022. 3. 29.
열을 전기로 바꾸는 신재생 에너지 - 열전 발전(Thermoelectric) 열전(Thermoelectric)은 작은 온도 차이에서도 전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소재/소자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연구하고 있는 열전이 어떤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적합한지 간략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열 에너지란? 우선적으로는 열? 온도 차이? 가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것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주전자에 끓여지고 있는 물은 열을 가해져서 물이 수증기가 되고 주전자의 뚜껑을 들썩들썩하게 하는 운동 에너지로 바뀌게 되는 것을 간단하게나마 알 수 있습니다. 열을 활용하여 액체가 수증기로 바뀌면서 부피가 늘어나면서 생기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발전소에 있는 터빈과, 자동차에 있는 엔진을 볼 수 있습니다. 열이라는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꿨다가 다시 전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 2021. 12. 15.
혼성 오비탈이란? (What is hybrid orbital?) 나노재료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오비탈과 혼성 오비탈의 개념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혼성 오비탈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저번 글(오비탈이란? (Orbital))에 오비탈은 전자가 존재하는 확률적인 공간이라고 하였는데 부양자수에 따른 s, p, d 등 다른 모양의 오비탈이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이전 글인 오비탈이란? (Orbital)에서 밑에 그림과 같이 설명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항상 이러한 모양으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s와 p를 생각해보았을 때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어 서로 간섭을 하여 오비탈의 모양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구처럼 생긴 s오비탈과 아령 모양의 p오비탈이 서로 간섭하여 기형적인 오비탈의 모습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에너지 준위는 p오.. 2021.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