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4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MS 접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접합 중 금속과 결합시키는 접합인 MS 접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S 접합이란? 2. 쇼트키 접촉 (Schottky contact) 3. 저항 접촉 (Ohmic contact) 4. Carrier Conduction Mechanism 1. MS 접합이란? 금속-반도체 접합은 대표적인 반도체의 이종 접합 중 하나입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살펴본 PN 접합과 달리 MS 접합은 금속과 반도체의 서로 다른 재료를 가지고 접합한 경우입니다. MOSFET과 같은 트랜지스터에서 전극의 역할은 아주 중요합니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전극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금속과 반도체의 성질이 서로 달라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 시 .. 2022. 8. 19.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PN 접합과 다이오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N 접합과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N 접합은 반도체의 접합 중 기본적인 형태의 접합으로 P-type 반도체와 N-type 반도체를 접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다른 특성을 가진 반도체를 접합함으로써 어떠한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이오드란? 2. PN 접합의 구조 3. 인가 바이어스 4. 항복 현상 1. 다이오드란?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계된 소자입니다. 초기 다이오드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반도체로 다이오드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정류기(rectifier)라고 불리는 반도체 다이오드는 p-type과 n.. 2022. 8. 19.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반도체의 도핑(doping)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불순물을 첨가하는 도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반도체 캐리어 2. 열평형 상태의 캐리어 3. 진성 반도체 4. 도핑과 도펀트 5. 외인성 반도체 6. 외인성 반도체의 페르미 준위 7. 축퇴 반도체 1. 반도체 캐리어 캐리어란, 반도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하를 운반하는 것을 말합니다. 캐리어의 종류는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있습니다. 전자는 많이들 아시는 대로 (-)전하를 가진 캐리어이고, 정공은 전자가 빠져나간 빈 공간을 의미합니다. 정공은 그 의미대로 공간이기 때문에 이동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마치 공간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캐리어라고 하는 것입니.. 2022. 8. 19.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페르미 에너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자의 거동을 알아보는 통계적 방법 중 하나인 페르미-디랙 확률함수와 그에 따른 페르미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는 전자와 정공 같은 캐리어를 통해 전류를 조절하고 작동합니다. 따라서 전자와 정공의 상태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페르미 에너지는 캐리어의 분포와 특성을 알기 위해서 쓰이는 개념입니다. 1. 페르미-디랙(Fermi-Dirac) 확률함수 2. 페르미 에너지 1. 페르미-디랙(Fermi-Dirac) 확률함수 이 세계에 존재하는 입자들은 그 수가 너무 많아 입자 각각의 거동보다 많은 수의 입자 집단의 거동을 취급합니다. 그 입자 집단의 거동은 확률함수로 표현이 되고 이 확률함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분포법칙을 따릅니다. 첫째, 맥스웰-볼츠만.. 2022. 8. 19. 반도체학과 재학생이 알려주는 에너지 밴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 에너지 밴드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물질은 에너지 밴드라는 띠를 가지게 됩니다. 물질은 각자의 에너지 밴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이 에너지밴드의 폭과 간격을 조절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반도체의 성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밴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 에너지 밴드의 형성 2. 가전자대, 전도대, 밴드갭 3. 금속, 절연체, 반도체 1. 에너지 밴드의 형성 저번에 다룬 양자역학의 기본적인 핵심 중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해 전자의 에너지가 양자화되어 있어 불연속적인 값을 가진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원자핵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존재하는 전자의 확률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이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전자가 .. 2022. 8. 19.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