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 lab2 제 3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Y축 2개 이상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그래프에 data 두개 넣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논문에 사용할 data를 그리다 보면 그래프를 두개 넣는 것 보다, 한 그래프에 2개 이상의 Y축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훨씬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줄 때가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공부할 때 보는 대부분의 논문의 그래프들이 Y축이 2개, 3개일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Y축을 2개 이상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origin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먼저 팝업이 뜨는 창들을 닫아줍니다. 위의 그림이 제일 기본이 되는 창입니다. 현재는 Y축이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먼저 Y축 블록을 잡아줍니다.. 2022. 6. 28. 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https://jungwonlab.tistory.com/entry/제-1강-Origin오리진의-기초-선형-그래프-그리기-Line-graph) 논문에 사용할 data를 그리다 보면 그래프를 두개 넣는 것 보다, 한 그래프에 2개의 data를 넣으면서 각각의 data를 비교하며 보여주는 것이 더 가시성이 높을 때가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논문을 읽다 보면 두개의 data를 비교한다던가 하는 그래프들이 많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Origin을 통하여 두개의 data를 넣어보는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origin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먼저 팝업이 뜨는 창들을 닫아줍니다. 위의 그림이 제일 기본이 되는 창입니다. 현재는 Y축.. 2022. 6.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