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ffice Tips

제 3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Y축 2개 이상 설정하기

by YE_NA 2022. 6. 28.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그래프에 data 두개 넣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논문에 사용할 data를 그리다 보면 그래프를 두개 넣는 것 보다, 한 그래프에 2개 이상의 Y축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훨씬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줄 때가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공부할 때 보는 대부분의 논문의 그래프들이 Y축이 2개, 3개일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Y축을 2개 이상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origin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origin - 시작화면
Origin 시작 화면

먼저 팝업이 뜨는 창들을 닫아줍니다.

origin - 시작화면
Origin 기본 화면

위의 그림이 제일 기본이 되는 창입니다.

현재는 Y축이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먼저 Y축 블록을 잡아줍니다.

origin - data 입력 창
Origin data 입력 창

그 다음 맨 위에 있는 column tab을 클릭합니다.

origin - colum - setting
Column 추가

Add New Columns를 클릭해줍니다.

origin - colum - setting
Column 추가 화면

Column을 몇 개 더 만들지 물어보는 창입니다.

저는 2개를 더 추가해볼게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Column이 추가된 data 입력 창

Y축 column이 두개 더 추가되어 Y축이 총 3개가 되었습니다.

대충 data를 넣어볼게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data
data를 임의로 입력한 모습

Y축을 2개 이상 설정하여 그래프를 그려볼게요.

맨 아래에 double-Y라고 나오는 곳을 클릭해주세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Y축 여러개 설정하여 graph 그리기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Y축이 좌 우로 총3개로 설정된 graph

클릭하면 위와 같이 그래프가 나와요.

각각의 scale bar를 설정해볼게요. 설정하는 방법은 Y축, X축 설정방법과 같습니다. (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 scale bar
scale bar을 설정한 모습

Scale bar와 From-To를 어느정도 정리를 해주었어요.

각각의 축만 있으니까 무엇을 나타내는 그래프인지 알기 힘든 것 같아요.

각각의 Y축에 title을 넣어줄게요.

Y축을 더블 클릭해주세요.(나머지 2개의 Y축도 동일하게 진행해주세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 title
Title 설정하기

저번시간에 말씀드린것과 같이 Y축을 설정하는 창이 뜰꺼에요.

이중에 Title&Format을 눌러주세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 title
Title 입력하여 설정하기

저는 Y1이라고 title을 정해보았어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 title
Title 입력 후 그래프의 모습

다음과 같이 Y축 옆에 title이 생성되었어요.

나머지 두 Y축도 설정할게요.

origin - colum - setting - 3Y - graph - title
나머지 graph도 title 설정 완료

Title의 위치는 클릭하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요. 참고해주세요.

 

오늘은 이만 포스팅을 여기서 마치려고 합니다.

다들 유익한 정보 얻어가셨나요?😊

 

 

Origin을 배우느라, 논문을 쓰느라 정신이 없을 여러분을 위해 정리와 제 의견을 말씀드려볼게요.

 

먼저 제일 드리고 싶은 Tip은 각 축의 설정입니다.

각 축의 설정은 각 축을 더블클릭했을 때 나오는 창에서 모두 설정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각 축의 색깔, Title은 물론 Grid line까지 설정 할 수 있으니까요!

차차 알려드릴거긴 하지만 먼저 이것저것 해보시며 직접 익히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제 의견을 조금 말씀드리자면, 저도 열심히 배우는 입장이며, 아직까지 모르는 Origin의 기능들도
많습니다!

origin - tutorial
Origin tutorial

하지만 다음과 같이 tutorial을 들어가보고, 찾아보면서 열심히 배우고 있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론적으로 배우는 Origin의 기능들은 금방 까먹기 쉽상이더라구요.

하루정도라도 시간을 내어 Origin의 기능들을 이것 저것 눌러보며 익히는 걸 추천드려요.

 

각 Theme마다 자주 쓰는 그래프가 무조건 있을거고, 그렇다면 그 분야에서 논문을 많이 쓰신 분들이라면 매뉴얼이 있으실거에요.

선배가 있으시다면 선배분들께, 아니면 같은 Theme의 논문을 찾아보면서 똑같이 만들어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아마 좋은 논문을 쓰지고 대단하신 박사님들도 Origin의 모든 기능을 알고 계시진 않을거에요.

Origin의 모든 기능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 아닌, 자기 분야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만 잘 알아도 좋다는 거에요!

 

다들 파이팅 하시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은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제 0강. 오리진(Origin)이란?

 

제 0강. 오리진(Origin)이란?

논문작성 중 그래프 만들 때 많이 이용되는 Origin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논문을 작성할 때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서는 필수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 origin입니다.

jungwonlab.tistory.com

제 1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선형 그래프 그리기 (Line graph)

 

제 1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선형 그래프 그리기 (Line graph)

안녕하세요. 오늘은 Origin을 실행하는 방법부터 가장 기본이 되고, 기초가 되는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까지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듯이 origin의 기능들이 워낙 많

jungwonlab.tistory.com

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https://jungwonlab.tistory.com/entry/제-1강-Origin오리진의-기초-선형-그래프-그리기-Line-graph) 논문에 사용할 data를 그

jungwonlab.tistory.com

제 3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Y축 2개 이상 설정하기

 

제 3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Y축 2개 이상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그래프에 data 두개 넣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제 2강. Origin(오리진)의 기초 - 한 그래프에 두개의 data 입력하기) 논문에 사용할 data를 그리다 보면 그

jungwonlab.tistory.com

 

Jungwon Lab 카카오 채널

댓글